피겨스케이팅에 대해 알아보자.
피겨스케이팅은 개인, 2인조, 또는 집단이 스케이트를 신고 얼음 위를 활주 한다. 빙판이나 아이스링크에서 한다. 음악에 맞춰 스케이팅 기술을 선보이는 빙상 경기이다. 여러 율동을 한다. 율동의 아름다움을 겨루는 경기이다. '빙상의 예술'이라고도 한다. 피겨는 빙판 위에서 도형을 그리듯이 움직이는 것에서 유래한다. 유럽과 북미에서 빙판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며 노는 것에서 유래한다. 스케이트 날이 빙판에 그리는 궤적을 연구한다. 스케이팅과 발레, 사교댄스를 결합한다. 이후 현대의 피겨스케이팅이 생긴다.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최초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다. 1924년 샤모니 동계올림픽 이후로는 동계 올림픽에서 진행한다.
피겨스케이팅의 혹독한 훈련
피겨스케이팅은 '동계 올림픽의 꽃'이라고 할 만큼 인기가 있다. 하지만 피겨스케이팅은 단시간에 폭발적인 에너지를 쏟는 기술들을 소화해야 한다. 점프, 스핀, 스텝 등 많은 기술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끝까지 힘 있게 이끌어나가는 지구력이 동시에 요구된다. 높은 운동능력이 필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같은 조건에서 크로스컨트리 스키 다음으로 피겨스케이팅이 두 번째로 많은 체력을 소모한다. 피겨 선수들은 지상훈련을 더 많이 한다. 체조와 마찬가지로 체형 관리를 잘해야 한다. 점프, 스핀, 스텝을 필수적으로 수행하면서 안무까지 수행해야 한다. 점프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점프 및 고난도 기술을 하기 위해 근육량을 갖춰야 한다. 하체의 근육이 골고루 발달되어야 한다.
피겨스케이팅과 대한민국은?
피겨스케이팅은 대한민국에서 1890년대 중반에서 1900년대 초반에 서구식 스케이팅으로 소개된다. 1920년대 중반 최초의 피겨스케이팅 클럽이 만들어진다. 보급된 시기이다. 1964년 동대문 실내스케이트장이 생긴다. 본격적으로 선수들이 배출된다. 코치들은 일본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다. 1968년 그르노블 동계올림픽에 처음 참가한다. 그 이후, 피겨 여왕인 김연아의 등장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다. 김연아의 등장으로 피겨스케이팅의 인지도가 향상된다. 매년 1~2명의 선수들이 많은 대회에 참가한다.
피겨스케이팅의 장비와 의상
피겨스케이팅의 장비는 스케이트와 의상이 있다. 피겨스케이팅 스케이트는 부츠부터 다르다. 점프 등의 동작에서 오는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부츠의 발목이 높다. 날의 앞부분에 톱니가 있다. 톱니를 토 픽이라 한다. 날 면에 완만한 굴곡이 있다. 두께도 두껍다. 날은 옆에서 볼 때 곡선이다. 앞에서 보면 오목하게 파인 곡선이다. 평행한 선 모양이다. 탈 때는 양 에지 중 하나만 닿는다. 피겨스케이팅 스케이트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천연 가죽을 사용한다. 선수들은 평균적으로 2 달마다 부츠를 바꾼다. 피겨스케이트용 날은 부츠 밑창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나사못으로 박는다. 탄소강 소재이다. 신소재는 2000년대부터 사용한다. 관리가 필수이다. 부츠는 수작업으로 만든다. 보급형 스케이트는 최저 20만 원 대이고 중급자용은 40만 원, 선수용 부츠는 60~70만 원 이상이다. 날은 포함이 되지 않는다. 따로 구매해야 한다. 피겨스케이팅의 날은 부츠 밑창에 날을 고정하면 더 이상 수정이 안된다. 가장 무식한 스케이트 장비이다. 피겨스케이팅의 의상은 기성복과 맞춤제작을 한다. 발레복이나 무용복과 유사하다. 경기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입는다. 노출도가 심하면 감점을 받을 수 있다. 의상은 규정이 존재한다. 무봉제, 입체 재단 등으로 만든다. 타 빙상 종목과 달리 별도의 장비가 없다.
피겨스케이팅의 경기 종류와 규정은?
피겨스케이팅은 싱글, 페어, 아이스 댄싱, 싱크로나이즈드스케이팅, 컴펄서리, 스페셜, 아크로바틱 스케이팅이 있다. 싱글은 각각 남자부문과 여자부문이 있으며 점프, 스핀, 스텝 시퀀스, 스파이럴 등의 요소들을 프로그램에서 실행한다.남자 4분, 여자 3분 30초이다. 페어는 남자와 여자의 혼성으로 구성된다. 페어에서는 하나의 요소를 같이 실행한다. 드로우 점프(남자가 여자를 점프할 수 있도록 던지는 것), 리프트(다양한 잡기와 자세로 남자가 여자를 머리 위로 올리는 동작), 페어 스핀(두 선수가 공통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 데스 스파이럴(남자가 축이 되고 여자가 주위를 도는 것) 등 페어에서만 가능한 요소들을 실행하기도 한다. 아이스 댄싱은 남자와 여자의 혼성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부부, 부녀, 남매, 모자 (母子) 선수들로 구성되기도 한다.) 아이스 댄스는 서로 가까이 잡고 음악에 맞추어 복잡한 발기술을 실행한다. 아이스 댄스의 리프트는 어깨보다 높으면 안된다. 싱크로나이즈드스케이팅은 12 ~ 20명의 혼성 그룹을 이룬다. 단체 아이스 댄싱과 유사하다. 기본적인 대형은 휠, 블록, 라인, 서클, 인터섹션을 포함한다. 밀집 대형과 팀의 일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선수들이 날을 이용한다. 여러 개의 원과 8자, 또는 유사한 모양을 빙상에 그리는 것이다. 정확도와 모양의 분명함, 깨끗한 정도, 회전의 원이 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현재는 거의 행하여지지 않는다. 스페셜 피겨는 얼음 위에 그려진 정교한 무늬 자국을 따르는 것이다. 초기에 흔히 행하여졌으며 올림픽 종목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아크로바틱 스케이팅은 '빙상 곡예' 또는 '익스트림 스케이팅'은 곡예의 기술과, 예술적인 체조 기술, 피겨스케이팅을 합친 것이다.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모, 일본의 대표 격투기를 알아보자. (1) | 2023.10.27 |
---|---|
씨름, 대한민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를 알아보자. (1) | 2023.10.27 |
아이스하키는 몇 명의 선수들이 한 팀일까? (0) | 2023.10.26 |
스키, 스키는 언제부터 탔을까요? (0) | 2023.10.25 |
레슬링, 비인기 종목 스포츠이지만 재밌다!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