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능사 4

[전기] 정전기

겨울철에는 '찌릿 찌릿' 정전기를 만날 수 있는 계절이다. 밑에 소년의 사진처럼 어느 누구나 어릴 때 놀이터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면 같은 경험을 해보았을 거다. 차 문을 열 때, 사랑하는 가족과 손을 맞잡으려 할 때 등 예고 없이 갑자기 '찌릿' 정전기가 일어난다. 정전기는 그럼 무엇일까? 정전기는 쉽게 '머물러 있는 전기'라고 할 수 있다. 지식백과의 요약에는 '전하가 정지 상태에 있어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전기.'라고 정리되어 있다. 정전기는 옛날부터 마찰전기로 알려져 왔는데, 정전기가 생기는 원인이 바로 마찰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물체/물질은 매우 작은 분자 또는 원자의 집합으로 되어있고 원자는 원자핵 & (-)전자들이 원자핵을 중심으로 돌면서 물체의 전기적 상태를 만들어준다. (자..

[전기] 단상,삼상 ?

전기를 처음 배울 때 제일 많이 들었던게 분전반과 단상과 삼상이었다 분전반 내용은 이전에 정리해두었고, 단상과 삼상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우선, 전기를 흐르게 할때는 두가닥의 전선이 필요한데, 여기서 최소한의 조건인 두가닥에 전기적 위치 에너지를 보내는 것이 단상이다 기본적으로 가정용 전기는 단상이다 그리고 전기가 만들어질 때는 RST(3개)의 상이 만들어지는데, 이 RST 에서 아무거나 골라 하나만 사용하면 단상(단 하나의 위상) 이 되는거고 3개를 사용하면 3상이 된다 *RST는 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임 삼상은 전기적 위치 에너지를 위상차이가 나는 3가닥의 전선으로 보내는 것이고 적은 전선수로 더 많은 전력을 보낼 수 있다 따라서, 공장 혹은 모터에 연결된다 삼상을 단상으로 바꿀 수 있다 위에서 말..

[전기] 차단기, 케이블 선정방법

차단기는 케이블 보호가 목적이다. 종류에 따라 부하용,배선용으로 나뉜다. 차단기를 선정할때는 배전반으로부터 오는 간선과 배전반 용량도 함께 고려되어야한다. 간단히 선정방법을 정리하자면, 1. 하나의 분전반 내모든 차단기의 부하설비의 부하량 총합(A)을 구한다. 2. 총합의 전류(A) ÷ (단상일때) 220(V) =값1 총합의 전류(A) ÷ (3상이상일때) 380(V) ÷ 루트3(1.73) =값2 3. 값1 × 1.25 (여유분) = y 값2 × 1.25 (여유분) = y 4. y 값의 초과된 값이 차단기 AT 이 됨 = 차단기 AT > y 차단기 선정이 되었다면 케이블을 선정하면 된다. a.공사방법에 따라, 단상/3상에 다라 구분되고 선택한다. b.선정된 차단기 AT 값 보다 큰 값의 허용전류(A)의 케..

[전기] 분전반,배전반,제어반 이란 ? (+차단기)

사실 나는 전공이 전기쪽도 아니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좋은 기회로 입사를 하게되었다. 그러다보니 완전 초짜에 바보였기 때문에 무조건 물어보고 찾아볼 수 밖에 없었다. 2년 가까이 되어가지만 아직도 어렵다. 요며칠 정리한걸 뒤적이다가 종이로 되어 있다보니 찢어지고 보관이 어려워서 여기다 적어두면 나중에 읽을 수도 있고 좋을 것 같아서 작성하기로 했다. 정말 기초적인 부분만 정리한 내용이다! 배전반은 한전(전력회사)에서 고압의 전기를 보내면 빌딩/공장과도 같은 대형 시설에서 그 전기를 받을 수 있는 시설이다. 배전반은 발전소로부터 온 고압의 전기를 대형시설 내의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간선을 통해 각 분전반으로 분배된다. 분전반은 우리가 가장 흔히 보는 은색 철제 박스문! LP ~ ..

카테고리 없음 2021.1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