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탁구 경기는 어떻게 점수를 매길까요?

moon.ki 2023. 10. 23. 16:17
반응형

탁구에 대해 알아봅시다.

탁구는 잔디 테니스와 다른 실내 라켓 스포츠로 거슬러 올라간다. 게임 등 테이블 테니스의 기본 규칙들을 개요, 득점하고 득점한다. 나무로 만든 직사각형의 테이블 중앙에 네트를 설치하고 셀룰로이드 소재의 공을 라켓으로 쳐서 승부를 겨루는 종목이다. 19세기 말 더운 나라에서 식민 지배를 하던 영국인들이 테니스를 응용하여 실내 게임으로 만든 주장이 가장 설득력있다. 초기에는 명칭도 일정하지 않아 고시마, 위프와프, 프림프람 등으로 불렀다. 당시 영국의 크로스컨트리 선수였던 제임스 깁이 미국 여행을 하고 돌아왔다. 가져온 장난감 셀룰로이드 공을 게임에 이용한다. 쇠가죽으로 만든 라켓으로 그 공을 칠 때마다 핑(ping), 퐁(pong) 소리가 난다고 해서 핑퐁 이라는 새로운 명칭도 얻는다. 근대 탁구의 출발점이다. 1900년 무렵부터 유럽 전역에 급격히 탁구가 보급된다.

탁구와 세계

탁구는 초기에 헝가리, 영국,구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스웨덴 등이 탁구 강국으로 군림한다. 지금은 그 주도권이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로 넘어왔다. 1924년 경성일일신문사 주최로 열린 핑퐁경기대회가 최초의 공식 대회로 기록이 있다. 1945년에는 조선탁구협회가 결성되었다. 한국 탁구는 제32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 단체전에서 우승한다.

탁구 경기 방식은?

탁구는 중아에 네트를 친 테이블에서 시작한다. 상대 팀 진영으로 공을 넘기는 방식이다. 이 때 테이블에 한 번 닿고 튀어오르는 공을 쳐야 하며, 2번 이상 테이블에 공이 접촉되면 점수를 잃는다. 서비스한 공이 상대 팀 코트에 들어가지 못했을 때,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에 완전히 걸렸을 때도 점수를 잃는다. 탁구 경기 세부 종목에는 남녀 단식과 남녀 복식, 남녀 혼합 복식이 있다. 대회에 따라 단식과 복식을 섞어 남녀 단체전이 있다. 단체전은 주로 4단식, 1복식으로 구성이다. 그 가운데 3승을 먼저 올리는 팀이 승리한다. 탁구 경기는 단식이든 복식이든 서비스로부터 시작된다. 그 뒤 서로 랠리를 펼친다. 이 후, 공격에 성공하거나 상대가 실책을 범하면 득점을 올린다. 탁구 경기는 각 세트마다 11점 선승제로 경기가 진행된다. 10 대 10의 상황에서는 연속으로 2점을 얻어야 승리한다. 한 경기의 총 세트는 3세트, 5세트, 7세트, 9세트 중에서 대회마다 규정을 마련한다. 점수 변화가 2점 있을 때마다 서비스를 교대하고, 세트와 세트 사이에 1분간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경기 규칙은 2001년부터 개정한다. 공격, 방어 전략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다. 선수들은 상대방의 약점을 파악한다.

탁구 경기장과 경기 용구는?

탁구는 한 대의 테이블을 사용한다. 경기장의 넓이는 최소 14m천장은 바닥으로부터 4m 이상 되도록 한다. 탁구대는 가로 152.5cm, 세로 274cm 규격의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바닥에서 탁구대까지 높이는 76cm이다. 탁구대 표면은 평탄하고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하며 청색 또는 녹색으로 칠한다. 공을 30cm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약 23cm로 일정하게 튀어야 한다. 테이블 표면을 코트라고 한다. 그 둘레에는 폭 2cm의 엔드라인을 흰색으로 그린다. 네트를 설치한다. 네트의 높이는 152.5mm이고, 길이는 양쪽 지주를 포함해 183cm이다. 네트는 반드시 양쪽 엔드라인과 평행이 되어야 하며,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탁구공은 셀룰로이드 소재의 둥근 모양이다. 색은 흰색이나 오렌지색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광택은 없어야 하고 직경 40mm, 무게 2.7g이 공식 규격이다. 라켓은 크기, 모양, 무게에 제한이 없다. 다만, 라켓의 본체는 두께가 균일한 원목으로 단단하고 평탄해야 한다.공을 치는 면은 접착제를 포함해 2mm 이하의 돌기가 밖으로 향해 있는 고무를 씌우거나, 돌기가 안으로 향한 것이든 밖으로 향한 것이든 접착제를 포함해 4mm이하의 샌드위치식 고무를 씌운다. 라켓의 양면을 서로 다른 재질의 고무로 덮어 씌워도 상관없다. 한 면은 밝은 적색으로, 다른 한 면은 검은색으로 확실히 구별해야 한다.

탁구와 대한민국

탁구는 1952년 제1회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것을 시작한다. 국제 대회에 참가한 한국은 1956년 동경에서 열린 제23회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 5위 남자 14위를 차지한다. 그 이후, 더욱 발전한다. 1973년 4월에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에서 열린 제 32회 세계 탁구 선수권대회에서 이에리사, 정현숙이 주축이 된 여자 팀이 단체전에서 감격의 우승을 한다. 탁구는 물론 구기 사상 최초로 세계 정상에 오르는 위업을 달성한다. 한국 여자탁구는 이에리사와 정현숙으로부터 시작한다. 현정화와 한국 여자탁구의 전성기는 그의 선수생활 시기와 정확히 겹친다. 현정화는 결승에서는 상대를 쉴 새 없이 몰아붙이는 전진속공이 살아났다. 반 박자 빠른 스매싱은 테이블 여기저기에 꽂혔다. 현정화는 서울올림픽 단식 금메달리스트 천징에게 3-0 완승을 거둔다. 한국 남녀선수로는 처음으로 세계선수권대회 단식 우승 트로피를 얻었다. 덤으로 세계선수권대회 그랜드슬램(단식, 복식, 혼합복식, 단체전)을 이룬 유일한 선수로 기록된다. 현정화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 한 달 전에 대표팀에 복귀한다. 값진 단체전 동메달을 땄다. 대표팀 선수들은 현정화를 믿고 따랐다. 현정화도 그들의 노력을 믿었다. 현재 신유빈은 대한민국 탁구 선수이다. 당시 만 15세 11개월 16일로 역대 최연소 국가대표이다. 복식은 2019년부터 전지희와 함께 한다. 2023년 5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전지희와 짝을 이뤄 은메달을 획득한다. 2022년 아시안 게임 탁구 여자 복식에 금메달을 획득한다. 여자 단체전, 여자 단식 그리고 혼합 복식에서 동메달 3개를 획득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