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해머던지기, 과학적인 운동 종목 입니다.

moon.ki 2023. 11. 12. 09:30
반응형

해머던지기는 과학적인 운동 종목일까?

해머던지기는 올림픽 육상경기 중 던지기 부문의 종목 중 하나이다. 순발력과 스피드를 이용한다. 해머를 던진 거리를 겨루는 종목이다. 원반던지기와 같은 규격의 서클에서 던진다. 해머던지기는 끈 끝에 무거운 철구를 달아놓은 해머를 직경 2.14m의 원형 판 안에서 회전력만으로 40도의 정해진 구역으로 멀리 던지는 종목이다. 철구와 손잡이, 그 사이를 잇는 철사로 구성된 해머를 던지는 경기이다. 제자리에서 돌면서 원심력을 이용해 던진다. 보통 몸을 3~4회전 하면서 해머의 머리 부분 스피드를 높이면서 던진다. 체중이 무거운 선수는 회전 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 해머를 멀리 던지기 위해서는 투척 시 속도, 투척 각도, 회전 반경, 각속도 등을 최적화해야 한다. 멀리 던지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행동에는 선수의 체형, 회전방법 등의 복잡한 원리가 필요하다. 해머를 놓는 순간의 속도가 제일 중요하다. 원반던지기와 마찬가지로 경기장 각도 외에는 그물을 설치한다. 해머를 놓치거나 잘못된 각도로 던지더라도 다른 곳으로 날아가지 않게 한다. 해머의 무게추를 12시 방향으로 더 빨리, 더 멀리 던지기 위해서는 해머의 회전속도가 빨라야 한다. 그리고 추의 회전속도가 빠르다는 건 원심력과 구심력이 크다는 의미이다. 구심력이 커지도록 중심의 무게를 증가시킨다. 힘을 가해 회전속도가 빨라지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해머던지기인 경우에는 분절(중심과 무게추 사이의 연결에서 꺾어지는 부분)이 없다. 골프 스윙과 연결해 해석하기는 어렵다.

해머던지기의 역사는?

해머던지기는 북유럽과 스코틀랜드 지방에서 시작한다. 바위를 깨거나 담장을 헐 때 사용하는 대형 망치를 던지는 오락에서 유래된다. 당시에는 나무 손잡이가 달린 쇠망치를 던졌다. 고대 아일랜드의 전차바퀴 던지기 경기가 그 효시로 알려져 있다. 14세기에는 해머를 사용하게 된다. 1866년 옥스퍼드대학과 케임브리지대학 대항전에서 경기가 시행한다. 기록에 의하면 1875년부터 나무 손잡이 대신에 강철줄 끝에 쇠망치가 달린 것을 사용했다. 1900년 파리에서 개최된 제2회 올림픽경기대회부터 남자 육상경기 던지기 부분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에서 여자 경기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다.

해머던지기의 용구와 경기장은?

해머던지기는 콘크리트 재질로 된 투척서클을 둔다. 지름이 2.135m인 원형이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보호용 그물이 설치된다. 기록이 향상되면서 1958년 90도로 제정되었던 것이 1970년 40도로 변경된다. 경기자는 투척 후 하얀 선의 뒤로 서클에서 나와야 한다. 선수가 투척한 해머가 해당구역 안에 떨어져야 기록으로 인정한다. 심판들이 낙하된 해머의 최초 흔적을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투척구역은 평평하고 부드러운 지면으로 구성된다. 해머의 전체길이는 약 1.15m이고 머리와 접속선 손잡이로 구성된다. 해머의 머리 부분은 둥글고, 내부는 철 또는 황동, 납 등의 재료로 채워진다. 접속선은 지름 3mm 이상의 강선 또는 피아노 선을 쓴다. 손잡이는 한 겹 또는 두 겹의 강제의 고리로 구성된다. 해머의 전체 무게는 7.25kg 이상이고 길이는 1.18~1.22m이다.

해머던지기의 기본동작은?

해머던지기는 해머를 잡을 때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을 모아서 손잡이를 잡는다.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왼손 위를 덮어 잡는다. 해머던지기 동작은 '잡기, 시동 동작, 연속 스윙, 턴, 놓기' 순서로 진행된다. 잡기 동작은 장갑을 낀 손을 손잡이에 올리고 그 위에 다른 한 손을 덮어 잡는 동작이다. 시동 동작은 투척 방향으로 등을 향한다. 해머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뜻한다. 팔과 상체를 사용한다. 해머를 2~3회 돌리는 동작을 연속 스윙이라고 한다. 스윙을 통해 해머의 속도를 올린다. 연속 스윙 이후 다리를 사용한다. 턴 동작이다. 평균적으로 3회전이 이루어진다. 2회전과 3회전 때 해머의 속도를 가속시킨다. 회전력이 향상될수록 체중에 작용하는 원심력 또한 커진다. 회전 동작 이후, 팔을 힘껏 위로 던져 올리면서 45도 각도로 해머를 던지는 놓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비거리는 해머의 머리 부분이 떨어진 지점과 투척 서클의 원심을 통하는 직선상으로 측정한다.

해머던지기의 규칙은?

해머던지기는 무효시기가 되는 경우는 선수의 몸이 투척 서클에 닿거나 바깥으로 나갔을 때, 해머가 투척 서클의 원심으로부터 34.92도의 각도선 바깥쪽에 떨어졌을 때이다. 총 3회의 투척을 한다. 상위 11명 및 8위와 성적이 같을 때에는 다시 3회의 추가 시기가 주어진다. m와 cm 단위로 표시한다.

해머던지기의 기술은?

해머던지기에서 기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회전 동작과 던지기 동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회전기술로는 '피벗 로테이션(pivot rotation)'이 있다. 발을 축으로 하여 몸을 빙글빙글 회전하는 동작을 뜻한다. 원반던지기 회전 동작 시에도 사용된다. 해머를 돌리다가 해머가 오른편에 왔을때, 허리를 왼편으로 돌리면서 왼발을 축으로 하여 몸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이다. 무거운 중량의 해머를 빠르게 회전시켜 몸과 해머 사이에 작용하는 구심력을 최대한 증가시킨다. 회전 기술을 통해 해머의 회전력이 최대로 커졌을 때, 마지막 회전에서 투척방향을 고려하여 각도를 조절하면서 손잡이를 놓는다. 동작을 '제자리 던지기 동작'이라고 한다. 던지기 동작은 회전하던 해머에 관성의 법칙이 적용된다. 해머의 구심력이 원심력으로 변환되어 회전하던 원의 접선방향을 따라 멀리 날아가는 원리를 이용한다.

반응형